맨위로가기

바넘 브라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넘 브라운은 1873년 2월 12일에 태어나 1963년 2월 5일에 사망한 미국의 고생물학자이다. 캔자스 대학교에서 고고학과 고생물학을 공부했고, 미국 자연사 박물관에서 일하며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화석을 발견하는 등 공룡 화석 발굴에 큰 업적을 남겼다. 또한, 미얀마에서 최초의 인류 화석 중 하나인 Amphipithecus mogaungensis를 발견하기도 했다. 브라운은 1, 2차 세계 대전 중 정보 자산으로 활동했으며, 산업 스파이 활동을 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분류학자 -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는 미국의 저명한 고생물학자이자 파충류학자로, 미국의 화석 척추동물에 대한 연구와 1,000종 이상의 신종 보고, 그리고 "뼈 전쟁"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업적은 다양한 분류군 연구와 그를 기리는 학회지 *Copeia*에 남아있다.
  • 미국의 분류학자 - 아사 그레이
    아사 그레이는 19세기 미국의 영향력 있는 식물학자로, 하버드 대학교의 자연사 교수로서 그레이 허바리움을 설립하여 식물학과 발전에 기여했으며, 다윈의 진화론을 옹호하고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 동부 식물상의 유사성을 연구했다.
  • 캔자스주 출신 - 배런 코빈
    배런 코빈은 토마스 페스토크라는 본명으로 활동한 미국의 프로레슬러, 전직 미식축구 선수, 아마추어 복싱 선수로, WWE에서 다양한 별명으로 활약하며 2019년 킹 오브 더 링 토너먼트에서 우승했다.
  • 캔자스주 출신 - 델버트 맨
    델버트 맨은 미국의 영화 및 텔레비전 감독으로, 영화 《마티》로 아카데미 감독상과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동시에 수상하며 명성을 얻었으며, 미국 감독 조합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 미국의 고생물학자 - 폴 세레노
    폴 세레노는 공룡 및 파충류 화석 연구에 기여한 미국의 고생물학자이며, 다양한 화석을 발견하고 명명했으며, 비영리 과학 교육 단체를 공동 설립하고 대중 매체를 통해 연구 결과를 알렸다.
  • 미국의 고생물학자 -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는 미국의 저명한 고생물학자이자 파충류학자로, 미국의 화석 척추동물에 대한 연구와 1,000종 이상의 신종 보고, 그리고 "뼈 전쟁"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업적은 다양한 분류군 연구와 그를 기리는 학회지 *Copeia*에 남아있다.
바넘 브라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897년의 브라운
1897년의 브라운
출생일1873년 2월 12일
출생지캔자스주카본데일
사망일1963년 2월 5일
사망지뉴욕 주뉴욕 시
국적미국
배우자매리언 레이먼드 브라운
릴리언 맥러플린 브라운
자녀프랜시스 R. 브라운
학문
분야고생물학
모교캔자스 대학교
알려진 업적암피피테쿠스 모가웅겐시스의 최초 기록된 유해 발견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발견
근무 기관미국 자연사 박물관

2. 생애

바넘 브라운은 1873년 2월 12일 캔자스주 카본데일에서 윌리엄과 클라라 실버 브라운 사이에서 태어났다.[2][3] 브라운의 부모는 1859년 덮개 마차를 타고 캔자스로 이주하여, 석탄층 위에 방 하나짜리 오두막을 지었다.[2]

윌리엄은 피 흘리는 캔자스의 정치적 혼란 속에서 석탄을 팔고 소가 끄는 화물차로 정부에 물품을 운송하여 가족을 부양했다.[4] 1867년 브라운 부부의 첫 아들 프랭크는 몇 년 후 동생의 이름을 P.T. 바넘으로 짓자고 제안했다.

어린 시절 브라운은 농장 일을 도우며 화석 산호와 화살촉을 발견하여 첫 번째 화석 수집을 시작했다.[2][4] 브라운의 과학적 관심을 알아챈 부모는 그를 카본데일의 정규 교육 기관에 보냈고, 1889년 16세에 최고 학년을 마쳤다. 이후 아버지와 4개월간 몬태나주 여행을 다녀온 뒤, 캔자스주 로렌스의 고등학교를 거쳐 1893년 캔자스 대학교에 입학했다.[6][4][2][5]

2. 1. 어린 시절과 가족

바넘 브라운은 1873년 2월 12일 캔자스주 카본데일에서 윌리엄과 클라라 실버 브라운 사이에서 태어났다.[2][3] 브라운의 부모는 1859년 덮개 마차를 타고 캔자스로 이주하여, 석탄층 위에 방 하나짜리 오두막을 지었다.[2]

윌리엄은 피 흘리는 캔자스의 정치적 혼란 속에서 석탄을 팔고 소가 끄는 화물차로 정부에 물품을 운송하여 가족을 부양했다.[4] 1867년 브라운 부부의 첫 아들 프랭크는 몇 년 후 동생의 이름을 P.T. 바넘으로 짓자고 제안했다.

어린 시절 브라운은 농장 일을 도우며 화석 산호와 화살촉을 발견하여 첫 번째 화석 수집을 시작했다.[2][4] 브라운의 과학적 관심을 알아챈 부모는 그를 카본데일의 정규 교육 기관에 보냈고, 1889년 16세에 최고 학년을 마쳤다. 이후 아버지와 4개월간 몬태나주 여행을 다녀온 뒤, 캔자스주 로렌스의 고등학교를 거쳐 1893년 캔자스 대학교에 입학했다.[6][4][2][5]

2. 2. 캔자스 대학교

캔자스 대학교에 입학한 브라운은 고고학과 고생물학에 관심을 보였다.[3] 신입생 시절 새뮤얼 웬델 윌리스턴의 수업을 들었으며, 1894년 여름에는 어민 카울스 케이스, 엘머 S. 릭스와 함께 네브래스카와 사우스다코타로 화석 채집 여행을 갔다.[2] 윌리스턴은 브라운의 지도교수가 되었고, 1895년에는 와이오밍으로 여름 탐험을 함께 했다.[5]

2. 3. 미국자연사박물관 경력

캔자스 대학교 재학 시절, 브라운 교수는 여름방학 때 사우스다코타 주와 와이오밍 주로 화석 탐사를 떠났으며(1894년, 1895년), 와이오밍 탐사대는 트리케라톱스의 머리뼈와 600킬로그램이 넘는 양의 화석을 발굴했다.[2] 1896년, 그는 미국 자연사 박물관(AMNH)의 제이콥 워트먼 팀에 합류하여 와이오밍의 모리슨 층 탐험에 동행했다.[2] 그레이불 강 근처에서 ''코리포돈'' 골격을 발견하여 헨리 페어필드 오스본의 주목을 받아, 1897년 초 AMNH의 조교 큐레이터 직위와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과정 장학금을 제안받았다.[7]

브라운 (왼쪽)과 헨리 페어필드 오스본 및 ''디플로도쿠스'' 표본 AMNH 223의 다리뼈


AMNH의 후원을 받으며, 브라운은 화석을 구하기 위해 전국을 돌아다니며 거래를 했다.[7] 그는 공룡뿐만 아니라 과학적 가치가 있을 수 있는 모든 것을 수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7] 1890년대 후반, 그는 코모 블러프에서 ''디플로도쿠스'' 표본을 발견하고 새로운 수집 절차를 도입했다.[7] 1902년에는 몬태나 남동부 헬 크릭 층에서 최초의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유해를 발견하고 발굴했다.[8][9] 헬 크릭 발굴 현장에서는 엄청난 양의 화석이 쏟아져 나왔으며, 브라운 팀은 다이너마이트를 사용하여 화석을 덮고 있는 암석을 제거했다. 이후 브라운은 캐나다, 앨버타와 레드 디어 강 근처 드럼헬러로 향했으며, 1910년대 중반 평저선을 타고 강을 따라 내려가면서 화석을 찾았다.[10]

1911년 AMNH 평저선 ''메리 제인''. 왼쪽부터: 헨리 오스본, 프레드 손더스 및 브라운


1910년, 브라운의 팀은 드라이 아일랜드 버팔로 점프 주립 공원에서 ''알베르토사우루스'' 무리의 뒷다리 여러 개를 발굴했다.[10] 이 화석은 오랫동안 잊혀졌다가 1990년대에 필 커리 박사가 다시 발견하여 발굴을 재개했다.[10] 브라운은 83세에 몬태나의 클래거트 셰일에서 플레시오사우루스 골격을 수집하면서 마지막 현장 작업을 수행했다.[11] 그는 시그마 시, 척추 고생물학회, 미국 지질학회, 왕립 지리학회, 미국 석유 지질학회, 뉴욕 과학 아카데미, 고생물학회의 회원이었다.[2] 1910년, 브라운은 AMNH의 척추 고생물학부 부 큐레이터로 승진했다.[2]

2. 4. 미얀마 탐사와 최초의 인류 발견

바넘 브라운은 캔자스 대학교 재학 시절 교수와 함께 사우스다코타 주와 와이오밍 주로 화석 탐사를 떠났다.(1894년, 1895년)[12] 와이오밍 탐사대는 길이 1.8미터, 너비 1.5미터인 트리케라톱스의 머리뼈와 600킬로그램이 넘는 양의 화석을 발굴했다.[12]

이후 미국자연사박물관의 후원을 받아 탐사 비용을 마련하고 발굴된 화석을 박물관으로 보냈다.[12] 1890년대에는 와이오밍에서 발굴을 진행했고, 1902년에는 몬태나 주 사우스스턴에서 티라노사우루스의 뼈를 발견했다.[12]

1923년 초, 브라운은 부인 릴리안과 함께 미얀마의 수도였던 양곤으로 여행하여 폰다웅 사암 지역을 중심으로 화석 탐사를 진행했다.[12] 모가웅 마을 밖 사암 노출 지역에서 이빨 3개가 있는 하악골을 발견하여 기록하고 분류했다.[12] 14년 후, 미국 자연사 박물관(AMNH)의 척추 고생물학자 에드윈 H. 콜버트가 이 화석을 새로운 종의 영장류이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인류(anthropoid)로 확인했다.[12] 브라운은 모식 표본을 "모가웅의 유인원 같은 생물"이라는 의미로 ''Amphipithecus mogaungensis''라고 명명했지만, 영장류로서의 지위에 대한 논쟁이 남아 있으며, 화석 부족이 이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12]

2. 5. 말년

1904년 2월 13일, 브라운은 뉴욕주 옥스퍼드에서 교사 마리온 레이몬드와 결혼했다. 그녀는 1905년 헬 크릭 지층으로의 여행을 포함한 여러 탐험에 동행했으며, 이 여행에서 브라운은 두 개의 추가적인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표본을 발견했다.[13] 부부는 1908년에 딸 프랜시스 R. 브라운을 낳았다. 마리온이 1910년 성홍열로 사망한 후, 프랜시스는 주로 외조부모에 의해 길러졌다.[2][8] 그녀는 래드클리프 칼리지와 롱우드 칼리지의 학장이 되었고, 체비 체이스 주니어 칼리지의 총장도 역임했다.[15][4] 또한 1987년에 아버지에 대한 회고록, ''Let's Call Him Barnum''을 썼다.

1920년, 브라운은 이집트 여행 중 사교계 명사 릴리안 맥러플린 브라운을 만났고, 부부는 1922년 콜카타에서 결혼했다. 그녀는 남편과의 탐험에 대한 세 권의 회고록, ''I Married a Dinosaur''(1950), ''Bring 'em Back Petrified''(1950), 그리고 ''Cleopatra Slept Here''(1951)를 썼다.[16]

1963년 2월 초, 브라운은 갑작스러운 혼수상태에 빠져 2월 5일에 사망했다. 브라운은 첫 번째 아내 마리온 레이몬드의 고향인 뉴욕주 옥스퍼드의 리버 뷰 묘지에 묻혔다.[14][11]

브라운에 대한 헌사는 1998년 아이맥스 영화 ''T-Rex: Back to the Cretaceous''에 담겨 있으며, 배우 로리 머독이 그를 연기했다.

3. 개인사

바넘 브라운은 1904년 2월 13일 뉴욕주 옥스퍼드에서 교사 마리온 레이몬드와 결혼했다.[13] 마리온은 1905년 헬 크릭 지층으로의 여행을 포함한 여러 탐험에 브라운과 동행했으며, 이 여행에서 브라운은 두 개의 추가적인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표본을 발견했다.[13] 부부는 1908년에 딸 프랜시스 R. 브라운을 낳았다. 마리온이 1910년 성홍열로 사망한 후, 프랜시스는 주로 외조부모에 의해 길러졌다.[2][8] 프랜시스는 래드클리프 칼리지와 롱우드 칼리지의 학장이 되었고, 체비 체이스 주니어 칼리지의 총장도 역임했다.[15][4] 또한 1987년에 아버지에 대한 회고록, ''Let's Call Him Barnum''을 썼다.

1920년, 브라운은 이집트 여행 중 릴리안 맥러플린 브라운을 만났고, 1922년 콜카타에서 결혼했다. 릴리안은 남편과의 탐험에 대한 회고록 ''I Married a Dinosaur''(1950), ''Bring 'em Back Petrified''(1950), ''Cleopatra Slept Here''(1951)를 썼다.[16]

1963년 2월 초, 브라운은 갑작스러운 혼수상태에 빠져 2월 5일에 사망했다. 브라운은 첫 번째 아내 마리온 레이몬드의 고향인 뉴욕주 옥스퍼드의 리버 뷰 묘지에 묻혔다.[14][11]

1998년 아이맥스 영화 ''T-Rex: Back to the Cretaceous''에 브라운에 대한 헌사가 담겨 있으며, 배우 로리 머독이 그를 연기했다.

4. 유산 및 평가

브라운은 전례 없는 과학적 발견의 시대의 말년에 살았으며, 그 시대의 다채로운 실천가 중 한 명이었다. 브라운은 캐나다의 발굴 현장에서 큰 모피 코트를 입고 사진을 찍는 일이 잦았다.[13]

모피 코트를 입고 1914년 몬타나에서 현장 연구를 수행하는 바넘 브라운
그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전략사무국 및 경제전국의 "정보 자산"으로 일했다.[13] 해외를 여러 차례 여행하면서 그는 산업 스파이로서 석유 회사들을 위해 부수입을 올리는 것을 꺼리지 않았다. 싱클레어 석유 회사(Sinclair Oil)는 특히 대공황 기간 동안 브라운의 많은 탐험과 연구에 자금을 지원했으며, 이 회사는 브라운이 발견한 ''디플로도쿠스''를 계속해서 로고로 사용하고 있다.[14]

5. 관련 서적


  • 티라노사우루스를 발견한 화석 사냥꾼의 이야기/Barnum's Bones -The story of a fossil hunter who discovered Tyrannosaurus}}영어 (2013년) 저자: 트레이시 E. 펀, 번역: 카타오카 시노부

참조

[1] 뉴스 Barnum Brown Dies at 89; Noted Collector of Fossils https://timesmachine[...] 2024-07-09
[2] 논문 Memorial to Barnum Brown (1873-1963) 1964
[3] 서적 Bones for Barnum Brown: Adventures of a Dinosaur Hunter http://archive.org/d[...] Texas Christian University Press
[4] 서적 Barnum Brown: The Man Who Discovered Tyrannosaurus Rex https://content.ucp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
[5] 서적 Men and Dinosaurs: The Search in Field and Laboratory http://archive.org/d[...] Dutton
[6] 뉴스 Hidden History: Osage County boy's curiosity unearths enormous discoveries http://www.osagecoun[...] 2024-07-09
[7] 서적 Barnum Brown: The Man Who Discovered Tyrannosaurus Rex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 웹사이트 Barnum Brown https://www.stranges[...] "" 2019-01-08
[9] 웹사이트 Personalities in Paleontology: Barnum Brown http://www.amnh.org/[...] 2009-03-17
[10] 웹사이트 Science & Nature: Extreme Dinosaurs https://www.bbc.co.u[...] 2024-07-09
[11] 서적 Barnum Brown: The Man Who Discovered Tyrannosaurus Rex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 논문 Fossil Ancestors of Burma http://www.uiowa.edu[...] 1985
[13] 뉴스 He Was an All-Time Genius at Finding Tyrannosaurus Rexes. His Story Will Break Your Heart. https://slate.com/ne[...] 2024-07-09
[14] 뉴스 Chasing Barnum https://www.evesun.c[...] 2024-07-09
[15] 뉴스 Miss Brown is Named Junior College Head https://www.newspape[...] 2024-07-16
[16] 웹사이트 Barnum Brown: The Man Who Discovered Tyrannosaurus Rex https://www.smithson[...] 2024-07-09
[17] 서적 I Married a Dinosaur http://www.coachwhip[...] Dodd, Mead
[18] 문서 PALAEOBLO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